지진이 일어났을 때 장애인과 보호자 대처방법
우리가 살아가다 보면 맞닥뜨리는 자연재해 중에서 미리 예측할 수 없는 지진이 바로 가장 큰 피해와 생명에 위협을 받습니다
서울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대형 재난인 지진 상황에서 장애인의 사망률은 비장애인보다 2~4배 정도 높다고 합니다
실제로 2011년 일본에서 발생한 9.0 규모의 대지진 당시 장애인 사망률은 전체 인구의 1,9%로 조사되었고, 비장애인 사망률 1.1%의 두 배에 가까웠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 9월 12일 경주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되어 모든 사람들에게 불안에 떨게 하였습니다
재난 발생 시 약자가 되어버리는 장애인을 보호하고 집이나 자주 가는 공간에서 보호자와 대피 연습을 해 보는 것이 재난을 미리 대비하기에 좋은 방법입니다
기본적인 지진 대응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튼튼한 탁자 아래에 들어가 몸을 보호합니다
① 지진으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2분 정도입니다
② 튼튼한 탁자의 아래로 들어가 탁자 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③ 탁자 아래와 같이 피할 곳이 없을 때에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합니다
2. 가스와 전깃불을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합니다
① 흔들림이 멈춘 후 당황하지 말고 화재에 대비하여 가스와 전깃불을 끕니다
② 문이나 창문을 열어 언제든지 대피할 수 있도록 출구를 확보합니다
③흔들림이 멈추면 출구를 통해 밖으로 나갑니다
3. 집에서 나갈 때는 신발을 꼭 신고 이동합니다
지진이 발생하면 유리 조각이나 떨어져 있는 물체 때문에 발을 다칠 수 있으니,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신발을 신고 이동합니다
4. 계단을 이용하여 밖으로 대피합니다
① 지진이 일어나면 엘리베이터가 멈출 수 있으므로 타지 말아야 하며, 계단을 이용하여 건물 밖으로 대피합니다
② 밖으로 나갈 때에는 떨어지는 유리, 간판, 기와 등에 주의하며,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5. 건물이나 담장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합니다
건물 밖으로 나오면 담장, 유리창 등이 파손되어 다칠 수 있으니, 건물과 담장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대피합니다
6.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①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하면서 신속하게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② 이동할 때에는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걸어서 대피합니다
7.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① 대피 장소에서는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킵니다
② 지진 발생 직후에는 근거 없는 소문이나 유언비어가 유포될 수 있으니,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안내 방송 등이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지진 발생 시 장애인과 보호자의 대처방법은
1. 시각장애인의 경우
①방석, 쿠션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고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하여 큰 탁자 아래나 위에서 떨어질 것이 없는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② 지진 후 방에 깨진 유리파편 등이 있을 수 있으니 신발을 신도록 하고, 보호자가 곁에 있다면 신발을 신겨주어야 합니다
③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으로 상황을 파악한 후 대피가 필요한 경우 바닥에 낙하물이 있는지 장애물을 점검하면서 천천히 움직이고 주위 사람에게 도움을 적극적으로 요청합니다
2. 청각장애인의 경우
① 얼굴을 똑바로 들어 입을 될 수 있는 대로 크게 움직여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 상황을 전달합니다
② 언어장애가 있는 경우 수화나 종이에 적어서 알려 주거나 손바닥에 손가락 끝으로 글씨를 써서 전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③ 텔레비전의 자막 방송과 휴대전화 등으로 정보를 수집하도록 노력합니다
④ 움직일 수 없게 되었을 경우 주변의 큰 소리를 낼 수 있는 도구로 소래를 내어 자신의 장소를 알리고 도움을 받도록 해야 합니다
3. 지체장애인의 경우
① 알아듣기 쉽게 상황을 전달하고 쿠션이나 두꺼운 모포 등으로 장애인을 보호하고 방안에 장애물을 정돈해 안전한 장소로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출입구를 확보합니다
② 가급적 혼자서 행동하지 말고 주변 사람들과 함께 대피합니다
③ 휠체어나 보행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퀴를 잠그고 몸을 앞으로 숙이고, 책, 방성, 베개 등으로 머리와 목을 보호합니다
④ 움직일 수 없을 상황이라면 조금이라도 안전한 곳에서 도움을 기다립니다
4. 발달장애인의 경우
① 서둘러서 급히 뛰어가거나 바깥으로 뛰어나가지 않습니다
② 가족이나 도움을 주는 사람들과 미리 정한 것을 지킵니다
③ 혼란스러워 스스로 결정하지 못할 때에는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5. 시각, 청각, 지체 장애인 이외에 노환, 상해, 질병으로 인한 장애인 분들 또한 보호자의 보호와 도움이 절실합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반드시 지진이 멈출 때까지 머리를 보호하고 탁자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해야 하는 것입니다
가능하다면 평소에 지진에 대비하여 비상용품을 준비해 두고, 보관 장소와 사용 방법을 알아두거나 장애 유형 및 복용약, 긴급연락처 등이 적힌 개인정보카드를 휴대하는 것도 좋은 예방방법입니다
'장애인에 대한 관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들의 대중교통 (0) | 2022.03.26 |
---|---|
장애학생의 폭력 행동 대처하는 방법 (0) | 2022.03.24 |
활동 지원사 (0) | 2022.03.22 |
언어장애 증상 (0) | 2022.03.21 |
장애인이 가족이면 일반 가족도 사는 게 힘들다 (0) | 2022.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