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애인에 대한 관심

장애인 누구나 게임할 수 있다

by 어서 2022. 3. 3.

장애인 누구나 게임할 수 있다

국립재활원은 노인과 장애인의 여가활동 중 게임 접근성 향상을 위한 게임 접근성 보조기기 활용 지침(이하 '매뉴얼')

「누구나 게임을 할 수 있다 - "같이 게임, 가치 게임 자조 모임"을 중심으로」를 발간하였습니다

 

"같이 게임, 가치 게임" 자조 모임은 보건복지부 연구개발 사업인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20~`23)의 일환으로 뇌병변 장애인과 함께 게임 접근성 보조기기를 개발하는 모임으로 정기적인 워크숍, 보조기기 개발 및 개조, 사용성 평가 등을 수해합니다

게임 접근성은 다양한 장애나 어려움을 가진 사람들이 게임에 접근하거나 즐기는 데 불필요한 장벽을 허무는 것을 의미합니다

 

본 매뉴얼은 중증 뇌성마비 장애인 다섯 가족과 게임, 치료, 교육, 심리 전문가들이 함께 수행한 게임 경험을 바탕으로, 게임을 하고 싶지만 방법을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인들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이번 매뉴얼 제작 과정에서 뇌성마비 장애인 5명이 부모, 형제, 자매들이 함께 "같이 게임, 가치 게임" 자조 모임에 참여하여 각자의 어려움이나 새로운 경험을 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오프라인 모임 등 다양한 채널에서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았다고 합니다

 

국립재활원에서는 "같이 게임, 가치 게임" 자조 모임을 통하여 게임 접근성 보조기기 12종(개발 10종, 개조 2종)을 개발하였습니다

게임 접근성 보조기기는 기존의 게임기기, 게임 콘텐츠에 장애인이 접근 가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터페이스 기기(개발˙개조˙제작˙적용 포함합니다

 

매뉴얼에는 활용 영상을 통해 뇌병변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게임 콘텐츠를 설정하는 방법, 게임 인터페이스 구성, 게임 보조기기 활용에 대한 사례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새로운 취미, 감정 조절하기, 가족과의 관계 향상, 더 많은 친구를 만나는 경험 등과 같이 게임 활동에 따른 장애인의 삶의 질 변화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국립재활원은 발간된 매뉴얼을 노인˙장애인 유관기관(노인˙장애인복지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등)을 대상으로 3월 7일부터 배포할 예정입니다

책자의 내용(PDF 파일)은 국립재활원 누리집(http://www.nrc.go.kr) 소식 알림 발간자료를 통해서도 볼 수 있으며, 3월 이후 보조기기 열린 플랫폼(http://nrc.go.kr/at_rd)에서도 공개할 예정입니다

보조기기 열린 플랫폼은 보건복지부 연구개발 사업인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20~'23)의 일환으로 구축 중(2022년 3월 공개 예정)이며, 보조기기 연구개발 수요 발굴부터 개발 가능성과 공유, 상용화를 돕기 위한 플랫폼입니다

 

"엑스박스로 자동차 게임을 스위치로 해보고, 닌텐도 스위치의 게임 중 스포츠 게임들과 마리오 카트도 했고, 혼자 하는 것보다 친구들과 만나 함께 게임을 즐겼습니다 게임을 하고 나서 자신감도 생기고, 신나게 땀 흘리면서 웃을 수 있었습니다"

"게임 컨트롤러 사용이 어려워 게임 자체를 하기 어려울 거라는 부모님의 생각과는 달리 아이는 두 손으로 잡고 어떻게든 버튼을 눌러 한 두 번씩 성공시키는 방법을 터득하였습니다 사춘기에 방황하게 될 감정을 게임이라는 여가활동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길 바라고, TV 시청 말고 게임으로도 집안에서 즐거움을 찾게 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댓글